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미스테리

식물에는 도저히 이길수 없다 수천년부터 수만년이나 살아남은 살아있는 지구에서 가장 오래살은 7가지 식물 브룩클린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라켈 사스만은 생물 학자의 협력을 얻.. 본문

카테고리 없음

식물에는 도저히 이길수 없다 수천년부터 수만년이나 살아남은 살아있는 지구에서 가장 오래살은 7가지 식물 브룩클린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라켈 사스만은 생물 학자의 협력을 얻..

미스테리블랙 2019. 3. 2. 01:20

식물에는 도저히 이길수 없다 수천년부터 수만년이나 살아남은 살아있는 지구에서 가장 오래살은 7가지 식물


브룩클린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라켈 사스만은 생물 학자의 협력을 얻어 지구상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은 생명체의 사진을 2004년부터 찍고 있다


혹한의 남극에서 작열하는 사막 속까지 세계를 돌며 가혹한 기상조건 속에서 천년, 만년을 살아온 생물들, 동물 중에는 장수로 분류되는 인류지만 이후의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들 식물보다 오래살수 있는 날이 올것인가?


1.벨비치아 (추정 2000세)


원시적인 겉씨식물로 나미비아와 앙고라의 해안에서만 자생한다 이렇게 영속적으로 성장하는 잎은 육상 식물 전체에서 봐도 예가 적으며 또한 잎의 기부에서 성장을 계속하는 형태는 그외에 예가 없다


2.스트로마트라이트 (2000~3000세)


샤크완은 사막에 둘러쌓인 폐쇄적인 해역에 있다 그 때문에 염분농도가 높은 구역이 존재하며 포식자가 되는 생물이 생식할수 없는 것때문에 스트로마트라이트가 아직 현존하는 환경이다


3.야레타 (3000세)


이끼로 덮인 바다처럼 보이는 군생하는 작은 현화식물 표고 3200미터 4500미터의 아타카마 사막의 고지에 자생한다


4.남극 이끼 (5500세)


이 이끼에 덮인 바위는 1914녀ㅕㄴ 영국 탐험가 아네스트 샤클튼이 이끄는 제국남극횡단 탐험대의 배가 빙괴에 막혀 움직일수 없게 된 장소 바로 옆이다


5.휴온 파인 (1만 500세)


타스마니아 고유의 침엽수로 마운트리드에 자생하는 휴온 파인의 클론 군락은 화산에 의해 그 대부분이 파괴됐지만 아직 살아 남은것도 있다 이 군락은 표고 950미터 정도의 대각선면에 있다


6.판두 (8만세)


떨리는 나무라고 불리는 미국의 클론 군생 판두는 적어도 8만년전에 탄생했다고 한다 아직 인류의 선조 모두가 아메리카에 살던때다 단지 이 산림지대는 100만년도 전부터 계속되고 있다고 하는 의견도 있다


7.포시드니아 오세아니아 시글라스 (10만세)


이 해양생식물은 인류 최대의 오래된 선조로써 알려진 남아메리카의 고대인이 세계에서 처음 상징표현을 낳았다고 하는 시대때부터 이 장소에서 살고 있다 포시드니아 오세아니아 시글라스가 자생하는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됐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