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미스테리

오렌지 껍질 파워는 굉장했다 12000톤의 오렌지 껍질이 자연에 푸른 숲을 만들기 까지 본문

카테고리 없음

오렌지 껍질 파워는 굉장했다 12000톤의 오렌지 껍질이 자연에 푸른 숲을 만들기 까지

미스테리블랙 2019. 5. 28. 07:37

 

오렌지 껍질 파워는 굉장했다 12000톤의 오렌지 껍질이 자연에 푸른 숲을 만들기 까지

한때는 중지 당해 거의 잊혀졌던 실험적인 보전 프로젝트가 그 착상으로부터 20년 가까운 세월을 지나서 놀라운 생태계의 승리를 거머 쥐었다

1990년대 중반 어느 쥬스 기업이 코스타리카의 황폐해진 목초지에 트럭 1000대분의 오렌지 껍질을 폐기했다 이것이 긴 세월을 지나 초록이 무성한 숲으로 재생된것이다

이것은 놀라운 역전극이라 해도 좋다 무엇보다 이 프로젝트는 개시로부터 2년만에 중지가 되었던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시점에서 3헥터가 오렌지로 깔려져 지상의 바이오매스는 176퍼센트 상승했다

"기업과 공원에 있어서 윈윈일 뿐이 아니라 누구에게도 윈인 상태입니다"라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생태학자 티모시 투루아씨

폐기처분 된 오렌지 껍질을 불모의 토치에 깔은 프로젝트

이 프로젝트는 프린스턴 대학의 다니엘 쟝첸과 위니 할벅스가 코스타리카의 오렌지 쥬스 회사 델 오로사에 제안하고나서 1997년에 발족했다

제안으로는 델 오로 사가 국립공원의 한개인 구아나카스테 보전지역에 인접한 토지를 기부하는 것에 동의하면 폐기되는 오렌지 껍질을 무료로 그 토지에 투기하는것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델 오로 사는 이것에 동의해, 트럭 1000대분에 해당하는 12000톤의 폐기 껍질을 대부분 불모였던 토지에 투기했다

영양가가 높은 오렌지 껍질은 대부분 일순간에 토지의 비옥함에 영향을 주었다

6개월 지나자 오렌지 껍질은 두껍고 검은 롬질의 토양으로 바꿨다
파리가 꿰어 구더기가 끓는 진득한 상태와 완전한 상태의 중간 단계다

어른의 사정으로 프로젝트가 중지 되다

이 징조 좋은 스타트에도 불구하고 경합기업인 티코후르츠사가 델오로사에 대해서 국립공원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소송을 일으켰다 최고재판은 티코후르츠 편을 들어 그 야심적인 프로젝트는 중지되었다

그로부터 프로젝트는 거의 잊혀져갔다

16년후 2013년,투루어씨는 다른 연구로 코스타리카를 방문했을대 현지가 어떻게 됐는지 보러갔다

오렌지 겁질이 불모의 토지를 정글로 바꿨다!

문제였던것은 예전에 불모의 토지를 찾는것뿐이었다

그는 당초 도로에서 거의 수미터의 위치에 노란 글자로 "실험지"라고 적은 표식을 세웠었다 그 높이는 2미터였기 때문에 현지에 가면 그 토지라고 바로 알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6년후,건조돼버린 토지의 풍경은 이미 알수가 없을 정도로 변해.표시였던 표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하게 담쟁이가 번성한 정글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

"덩굴이 무성해서 거기에 오렌지가 있던것마저 알수 없었고,발견할때까지 수년 걸렸습니다. 많은 장소에 발을 옮겼습니다"라고 투르어씨는 말했다

오렌지 껍질을 버리지 않은 부근의 대조 영역과 비교해보니 실험적인 퇴비가 토양을 풍성하게 해 수목 바이오매스나 수목종의 생물다양성이 증가한것이 판명됐다

그 안에는 어른 3명이 팔을 늘려서 겨우 안을수 있을 정도의 무화과의 수목마저 자라고 있었다

이유는 불명이지만 오렌지 껍질이 생태게에 극적 변화를 부여했다고 하는 사실

현시점에서는 오렌지 껍질이 겨우 16년만에 이정도로 효과적으로 토지를 재생시킨 원리에 대해서 완전히는 판명되지 않았다

투르아씨도 몇가지 의문이 있지만 침입종의 풀을 억제하고 심하게 열화한 토양을 쇄신하는 등, 무언가의 상승효과가 있던것은 아닐까 하고 추측하고 있다

그 원리가 알수 없어도 똑같은 보전 프로젝트의 응용이 기대되는 뛰어난 성과이다

폐기물의 유효처리로 토지의 활성화

폐기물을 처리하고 토지를 활성화한다고 하는 효과의 땅에도 삼림의 증가는 대기중에 포함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이 된다 그것은 나아가서 이 토지 재생 프로젝트가 지구마저 구할 도움이 될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들이 사는 이 세계에 양분이 부족한 황폐된 생태계와 영양이 풍부한 대량의 폐기물로 차있다는 것은 유감스러운 것입니다. 그것이 조금이라도 조화된다면 좋겠죠"라고 투르어씨는 말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