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달팽이 점액으로 내장 지혈을 돕는 강력한 접착제가 개발 된다
민달팽이 점액으로 내장 지혈을 돕는 강력한 접착제가 개발 된다
점액으로 생체 조직을 연결하여 내장 지혈을 하는 접착제가 개발되었다.
지금까지 돼지의 심장 등 다양한 조직에서 실험이 실시되어 그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되고있다.
유럽 전역과 미국 북동부에 분포하는 다스키 아리온 (Arion subfuscus)은 포식자의 위협하면 풀처럼 끈적 끈적한와 점액을 분비한다. 이렇게함으로써 스스로를 그 자리에 고정시켜 상대에 잡아먹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성질을 응용하고자하는 과학자들은 예전부터 다스키 아리온에 주목 해 왔으며,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점액에 강한 점착성을주는 화합물의 정체는 이미 발견했다.
그래서 하버드 위스 연구소 장유 리 (Jianyu Li) 교수는 이를 참고로 표면이 젖어있는 등 접착이 어려운 생체 조직도 접착이 가능한 물질로 합성을 시도 했다.
' Science '에 게재 된 연구에 따르면 피부 연골 심장 동맥 간 등 여러 조직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민달팽이 점액의 실험에서 기존의 의료용 접착제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한다.
민달팽이 접착제의 강력한 접착력의 비밀
그 접착력의 비밀은 강인한 기질내에 있는 정전하를 가진 단백질이다. 이 힘을 모방하기 위해 표면에서 정전하 구조가 튀어 나온 이중층 하이드로 겔이 생성되었다. 이 구조와 특별히 설계된 기질이 결합되어 엄청난 접착력이 발휘된다.
리 씨의 설명에 따르면, 종래의 접착제 조직 접착제 사이의 접점만을 착안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번 방식은 기질 층 통해 에너지를 발산하기 때문에 떨어지기 전에 크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고 한다.
민달팽이 접착제를 떼어 위해서는 기존의 의료용 접착제의 3 배의 힘이 필요하게된다. 게다가 벗겨진 경우에도, 그것은 접착제와 조직의 접점이 아닌 하이드로 겔이 찢어진것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증명하고있다.
민달팽이 접착제의 실험에서는 젖은 부분과 마른 부분도 포함해 돼지 조직에서의 효과와 마우스의 체내에서도 2 주 안정된 상태로 있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돼지의 실험에서는 고동하는 심장의 구멍을 제대로 막는 데 성공했다. 또한 마우스 실험에서는 간장 출혈에 적용해,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는 일도 없었다.
민달팽이 접착제의 응용 가능성
"차세대"접착제는 몇가지 의료 적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고한다.예를 들면 패치로 형성해서 필요한 형상이나 크기로 자유롭게 자르고 쓸수 있다고 한다
체내 깊숙한 곳의 출혈을 막기 위해 주사용액으로써 이용하는 방식도 있을수 있다 그 외에도 의료기기를 체내에 고정하는 용도도 있을것이다
민달팽이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생체분해되는 성질로 만들수 있다 한마디로 상처가 나을 쯤에는 멋대로 체내에서 분해되는 것이다
약제를 옮기는 수단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로보트 공학에 응용해서 끈적 끈적한 소프트로보트를 개발하는것도 생각될수 있다고 한다